오늘 '양자컴퓨팅 "BTC 블록체인 훼손" … 뉴욕증시 리게티 아이온큐 폭발'이라는 제목의 기사 내용을 봤습니다. 그래서 궁금했습니다. 기사 내용이 사실인지 그래서 알아봤습니다.
현재 양자컴퓨터가 비트코인을 해킹할 가능성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, 실현되려면 아직 시간이 필요합니다. 구체적으로 따져보겠습니다.
---
1. 양자컴퓨터가 비트코인을 해킹할 수 있는가?
비트코인의 보안은 타원곡선 암호(ECDSA) 및 SHA-256 해시 함수에 기반합니다. 양자컴퓨터는 특정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이러한 보안 체계를 깨뜨릴 수 있습니다.
✅ 가능한 이유
1. 쇼어 알고리즘(Shor’s Algorithm):
양자컴퓨터는 쇼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현재 RSA, ECDSA 같은 기존 암호 체계를 빠르게 깨뜨릴 수 있음.
비트코인의 개인키를 공개키에서 추론할 수 있다면 해킹이 가능함.
문제는 현존하는 양자컴퓨터가 이를 실행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다는 것.
2. 그로버 알고리즘(Grover’s Algorithm):
비트코인의 해시 함수(SHA-256)를 역추적할 확률을 높일 수 있음.
그러나 그로버 알고리즘은 이론적으로 두 배 빠르게 계산할 수 있을 뿐, 완전히 깨는 것은 아님.
---
2. 현실적인 문제점 (양자컴퓨터가 아직 해킹이 어려운 이유)
비트코인을 해킹하려면 최소 1500~2000만 개 이상의 완전한 큐비트(논리 큐비트)가 필요한데, 현재 기술로는 이를 구현할 수 없음.
🚧 현재 기술의 한계
구글(2023년 기준): 70~100개 큐비트 실험 성공 (하지만 오류 많음)
IBM(2024년 기준): 1000개 이상 큐비트 실험 중 (여전히 불완전)
마이크로소프트, 구글, 아이온큐(IonQ) 등: 수천 개 큐비트를 향해 연구 중이지만, 실용적 해킹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함.
---
3. 비트코인의 대응책 (양자 저항 암호)
비트코인 개발자들은 양자컴퓨팅의 위협을 알고 있으며, 여러 대책을 마련 중입니다.
✅ 대응 가능한 방법
1. PQC(양자 저항 암호, Post-Quantum Cryptography) 도입
현재 NIST(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)에서 새로운 양자 저항 암호를 개발 중.
향후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양자 내성 알고리즘으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이 있음.
2. Schnorr 서명 및 타원곡선 개선
비트코인은 이미 Schnorr 서명 도입을 논의 중.
기존 암호체계보다 더 강력한 보안을 제공.
3. 비트코인 주소 리사용 금지
양자컴퓨터가 공개키를 역추적할 수 있으므로, 같은 주소를 반복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해킹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음.
---
결론: 지금 당장은 불가능하지만, 미래에는 가능할 수도 있다
1. 현재 양자컴퓨터는 비트코인을 해킹할 수준이 아님.
2. 양자컴퓨터가 발전하면, 비트코인도 양자 저항 기술을 도입할 것.
3. 최소 10~20년 이상 지나야 현실적인 위협이 될 가능성이 있음.
그러므로 비트코인이 당장 해킹될 가능성은 낮지만, 장기적으로는 대비가 필요합니다.
'주식 연구소 > 세상 및 사회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전고체 배터리 대전! 삼성·LG·SK, 누가 먼저 상용화할까?" ⭐⭐⭐⭐⭐ (0) | 2025.03.01 |
---|---|
국회증언법 개정안: 국회 권한 강화와 기업 자유 사이의 갈등 (0) | 2024.12.26 |
양곡관리법 개정안: 농가 소득 안정과 숨겨진 문제점 (0) | 2024.12.26 |
선거관리위원회의 중립성과 부정선거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 (1) | 2024.12.22 |
민주주의 체제에서 탄핵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대안과 대응 방안 (2) | 2024.12.22 |